반응형
SPAC(Special Purpose Acquisition Company)는 공모를 통해 조달한 자금을 바탕으로 다른 기업과 합병하는 것을 유일한 목적으로 하는 명목회사이다.
SPAC은 법인설립, IPO, M&A라는 3단계 사이클을 통해 그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 설립단계: 소수의 발기인에 의해 SPAC법인설립 작업이 이루어진다. SPAC은 주식회사이기 때문에 주식회사의 설립절차를 따르며, 발기인은 설립 당시에 발생되는 주식을 인수한다.
- IPO: SPAC은 일반주주에게 투자원금 수준의 금액을 보장해 주기 위해 공모자금의 90%이상을 금융기관에 예치하여 인출을 제한하고 있다.
- M&A: IPO가 완료되면 SPAC은 그 발행 주권을 거래소에 상장하게 된다. 상장을 위해서는 거래소가 요구하는 상장요건을 충족해야 하며, 일반적으로 M&A 외에 다른 사업목적을 가지고 있지 않은 SPAC의 특성을 반영하여 상장특례를 인정하고 있다.
SPAC의 형식적 심사요건
- 경영성과 요건 (①,② 중 택1)
- ① ROE 10%(벤처 5%)
- ② 당기순이익 20억원(벤처 10억원)
- 합병대상법인 규모: 대상법인 총자산 또는 합병가액이 예치자금의 80%이상
- 자기자본 규모: 30억원(벤처 15억원)
- 자본잠식: 없을 것
- 법인세차감 전 계속사업이익: 있을 것
- 영업활동기간: 설립 후 3년 이상 경과 및 계속 영업
- 감사의견: 최근연도 적정
- 기타: 부도, 소송사유 해소 및 주식양도제한 금지
- 합병 등 제한: 합병 등의 기일이 속한 사업연도의 결산이 확정될 것
- 최대주주 변경제한: 청구서 제출일 전 6월간 최대주주 변경이 없을 것
이와 같이 상장측면 M&A의 유형 중 SPAC 상장은 법인설립, IPO, M&A 등의 과정을 거쳐 이루어지며, 거래소에서 요구하는 형식적 심사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이러한 요건을 만족하면 SPAC는 상장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합병을 목적으로 다른 기업과 결합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