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성장잠재력 확충과 일자리 창출 확대 차원에서 기업가정신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며, 특히 우리나라와 같은 혁신 주도형 경제에서는 성장 동력원으로서 기업가 정신이 매우 중요하다. 유명한 경영학의 대가인 피터 드러커는 우리나라를 세계에서 한때 가장 기업가정신이 높은 나라라고 지칭한 바 있다. 하지만 최근 주요 기업들의 투자부진과 경제 침체 등이 계속되면서 2000년대 초반 이후 하락세를 지속하고 있어 특 별한 관심과 대응이 필요하다.
주요 선진국들과 비교할 때 우리나라의 총괄적인 기업가정신 지표들은 모두 높은 수준이기는 하나, 설립한 지 3.5년 미만의 기업가 중 생계형 기업가 비중은 높고 기회형 또는 혁신형 기업가의 비중은 낮은 수준이다. 따라서 기업가정신의 제고를 위한 향후 방향도 기업가의 양적 확대보다는 질적인 수준의 확대, 즉 혁신형 기술창업가의 확대에 초점을 둘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차세대 유망기술 등 신기술창업을 활성화하고, 혁신바우처 제도 도입 등을 통해 창업의 혁신성을 강화해야 하며, 개발기술의 상업화 촉진을 위한 기술중개 기관의 기능과 역할을 보다 강화해 나가야 할 것이다.
Audretsch and Thurik(2010)에 따르면 선진국들은 1980년대 이후 관리형 경제 (managed economy)에서 기업가적 경제(entrepreneurial economy)로 전환되고 있다고 한다. 관리형 경제에서는 ‘규모의 경제’와 대기업의 역할이 강조되었지만 기업가적 경제에서는 경제성장과 고용창출을 위해 기업가 정신과 중소기업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ICT 등 기술의 발전뿐만 아니라 공산주의의 붕괴, 세계화의 급진전, 다국적 기업의 경쟁, 생산방식의 변화, 소득 증가에 따른 소비수요패턴의 변화 등 복합적 요인들로 인하여 성장 및 고용 창출에서의 신규 기업과 중소기업의 역할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배종태·차민석(2009)의 연구에서는 대기업과 중소․벤처기업의 기업가정신 및 경제성장에서의 역할 변화로 한국의 기업가정신 변화를 설명하고 있다.
① 기업가정신 제1물결 : 1960~80년대 대기업 위주의 정부의 경제성장 및 산업정책으로 인해 대기업을 중심으로 한 기업가정신 발현 시기임. 전후 한국 산업 발전의 초석을 다진 시기로 이병철 삼성그룹 창업주, 정주영 현대그룹 창업주 등의 재벌 대기업이 건설, 식품, 의류 등 국가 주요 산업에서 해외 원조 등을 기반으로 기업 활동 시작 시기
② 기업가정신 제2물결 : IMF 이후~2000년대 초반 벤처버블 전까지는 중소기업 위주의 기업가정신 발현 시기. 김대중 정부 출범 이후 정부의 중소․벤처기업 육성정책과 전 세계적인 벤처붐 시기임. 기존의 완제품 및 하드웨어 제품 생산 중심의 산업 구조에서 반도체 및 전자제품의 정부 주도의 산업화 정책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 1세대 벤처가 역동적으로 성장하게 된 시기
③ 기업가정신 제3물결 : 금융위기를 벗어나기 시작한 2010년대 초반부터 현재까지로 애플(Apple)의 아이폰이 주도한 스마트폰 플랫폼 등장과 창업 대중화의 시대 개막 시기
'창업보육전문매니저 자격시험 > 기술창업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업 관련 법률 (0) | 2021.03.22 |
---|---|
중소기업기본법과 중소기업의 범위와 구분 (0) | 2021.03.22 |
기술 창업가의 성공요인과 잘못된 인식 (0) | 2021.03.21 |
기술창업가의 특징과 한계 (0) | 2021.03.21 |
기업가정신의 파급효과와 기업가정신의 측정 (0) | 2021.03.21 |
댓글